황로 입니다. 황로 역시 흔한 여름 철새이며, 원주천 내에서는 관찰 할 수 없지만, 천 주변의 논과 습지, 초지 주변에서 흔히 관찰 할 수 있답니다. 하천내에서 관찰되지 않고 논이나 습지, 초지에서 관찰되는 이유는 황로의 먹이와 관계 있겠지요. 황로는 영명이 Cattle Egret 라는 사실에서 볼 수 있듯이, 소가 논을 갈면 그 속에서 나오는 양서류(주로 개구리)나 곤충을 잡아 먹습니다. 요즘은 소가 논을 갈아엎는 광경을 볼 수 없으니, 봄에 트랙터 주변을 따라 다니며...
자료
검은댕기해오라기
여름 철새이며, 원주천에서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해오라기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생태적 습성도 같으나 번식장소가 다르며 형태적으로는 해오라기보다 조금 날씬 하며, 몸의 무늬가 뚜렷하지요. 먹이는 대부분 하천의 물고기를 먹으며 밤에도 활동이...
신나무
[치악산 금대리] 단풍나무과. 단풍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나무로 복자기나무, 붉나무 등이 함께 단풍의 아름다움으로 유명하다 목재는 단단하고 치밀하여 기구재, 세공재 등으로 이용된다 * 잎은 회흑색의 물감을 얻는데 사용하였다고 하며 특히 스님들의 옷인 장삼 등 법복을 물들이는데 쓰였다고...
산사나무
[횡성군] 장미과. 전국에 자라며 잎의 가장자리가 깊게 파져 있어서 다른 나무와 구별하기가 쉽다 열매는 모양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열매로 빚은 술은 산사주(山査酒)라하여 약용주이다. 동의보감에는 열매가 소화가 잘 안되고 체한 것을 낫게하며 기가 몰린 것을 풀어주고 가슴을 시원하게 하며 이질을 치료한다 하여 소화기 계통의 약제로 쓰였다고 기록되어 있다한다. *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박혀 돌아가실때 머리에 씌워지 가시관(면류관)을 산사나무로 만들었다고 한...
보리수나무
[횡성군 청일면] 보리수나무과. 전국에 자생하며 보리수라는 이름은 '보리'라는 동네에서 많이 자란 나무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줄기에 가시가 있으며 잎 뒷면에는 은빛 잔털이 빽빽이 나 있다. 부처님이 득도했다는 인도원산 큰키나무나 사찰에서 열매로 염주는 만든다는 보리수나무는 피나무 종류로서 전혀 다른 나무이다 * 열매는 천식과 자양강장을 위해 식용하며 질소 고정능력이 있어 비료나무로 쓰였다 설탕이 없던 시설 보리수나무의 열매를 즐겨 먹었다고 하며 조선왕조실록에는 폭군으로 알려진...
한미 FTA 교양 자료집
범국본교양자료집[1].pdf
붉은배새매
흔한 여름 철새이며, 주로 잠자리등의 곤충과 개구리 등의 양서류를 잘 잡아 먹습니다. 전봇대의 꼭대기에 앉아 먹이를 노리는 습성을 가지고 있어, 주로 전봇대 에서 자주 관찰할 수 있답니다~~~
검은등할미새
검은등할미새 입니다. 올해 태어난 어린 개체 구요. 하천내에서 주로 수서 곤충들을 잡아 먹으며 생활하기에 원주천에서 연중 관찰할 수 있는 텃새이며, 성조가 유조에게 먹이를 공급(육추)할 때에는 수서곤충 뿐 아니라 나비의 유충, 작은 물고기 등도 먹입니다. 사진속의 개체는 태어난 지 약 한달이 조금 지난 어린 개체 입니다. 시간이 되면 성조도 함께 올려...
단풍취
[백운산] 국화과 전국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원줄기 중앙에 4-7개가 윤생인 듯 달리고 원형이며 끝이 7-11개로 얕게 갈라진다. 줄기는 곧게 서고 긴 갈색 털이 드물게 있으며 꽃은 7~9월에 피고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잎이 단풍잎을 닮아...
다람쥐
[대관령 삼양목장] 달리다의 명사형인 '다람'과 '쥐'가 합쳐져 달리는 '쥐'란 의미를 갖고 있다. * 생김새 : 몸길이 12~15cm, 꼬리길리 11~12cm, 약 100g정도이며 꼬리는 몸집과 거의 비슷한 크고 풍성하며 털 색깔은 황토색 바탕의 등에 다섯개이 검은 줄무늬가 있고 배는 하얀색이다 * 먹이 : 도토리를 가장 좋아하며 개암, 밤, 버찌 등 다른 식물의 종자와 새순도 즐겨 먹는다. 양쪽 볼에는 '뺨주머니'가 있어 먹이를 발견해도 바로먹지 않고 보관했다가 안전한...
당단풍나무
[백운산] 단풍나무과. 전국에 자생하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자라는 단풍나무로 잎이 단풍나무보다 조금더 크고 9~11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목재가 단단하고 치밀하며 무늬가 고와 고급가구재로 쓰인다 *주변에서 정원수로 흔히 심는 봄부터 이미 붉게 물들어 있는 '가짜 단풍잎'을 달고 있는 단풍나무는 일본인이 개량하여 만든 원예종이며 '홍단풍' '노무라단풍' 이라 한다. 또 모양은 완전히 다르지만 중국단풍나무도 있으며 잎이 3갈래로 갈라 지는데 원주시내 일부지역에 가로수로...
함박꽃나무
[백운산] 목련과 낙엽활엽수 소교목. 나무높이 5∼6m까지 자란다. 꽃 모양이 함박꽃과 매우 비슷하여 '함박꽃나무'가 되었고 목련과도 비슷하며 산에 자라 '산목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북한의 국화인데 우리와는 달리 '목란'이라고 부른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