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황림] 장미과 잎자루와 잎뒷면에 털이 있다. *벚나무 10여 종류의 분류는 매우 복잡하답니다.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벚나무와 산벚나무는 잎과 잎자루에 털이 없습니다. 개벚나무는 잎과 잎자루에 털이 드물지만 오래도록 남아 있습니다. 잎과 잎자루에 털이 많이 남아 있으면 털개벚나무로 분류하면 됩니다. 치악산에는 개벚나무와 털개벚나무가 흔히 자라고, 치악산에서 산벚나무는 보지 못했습니다.(송홍선...
사진
김의털
[원주천] 벼과 건조한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 높이는 30~50cm까지 자란다. 사람이 다니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군락을 이루어 자란다고 한다. * 넓은입 김의털은 유럽에서 들어왔다
짝자래(짝짜래)나무
[치악산 구룡사] 갈매나무과 충청남도와 경기도 이외 지역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이며 잎은 호생한다. 잔가지는 녹색 또는 홍록색이고 털이 없으며 늙은 가지는 수피가 회갈색이고 가지 끝은 흔히 가시로 변한다. * 짝짜래나무와 갈매나무는 매우 비슷한데, 잎이 마주나기하면 갈매나무이고 대다수 어긋나기하면...
진범
[백운산] 미나리아재비과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가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자줏비치 돌고 잎의 갈래 조각에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올라갈수록 작아지며 꽃은 자주빛으로 피고 독이 있으며 뿌리는 약으로 쓴다. * 흰꽃이 피면 흰진범이라고...
익모초
[원주천] 꿀풀과 어머니에게 이로운 풀이라하여 익모초라고 했으며 예전에는 약재로 많이 사용함 줄기에는 흰털이 있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꽃은 위쪽 잎 겨드랑이에 층층이 돌려난다. 잎을 씹으면 매우 쓴 맛이...
이질풀
[성황림] 쥐손이풀과 이질에 약이 된다고 이질풀이라고 하며 전체를 위장약으로 쓴다. 전체에 긴털이 있고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3~5갈래로 갈라진다 * 쥐손이풀과 이질풀은 비슷한데 구분법은 잎이 깊게 갈라지고 꽃이 흰빛이면 쥐손이풀이고 잎이 덜 갈라지고 꽃이 분홍빛이 강하면...
이삭여뀌
[치악산 구룡사] 마디풀과 산골짝의 냇가또는 숲 가장자리에 주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마디가 굵으며 전체에 털이 있고 잎은 호생(어긋나기)하다. *쇠무릎과 혼돈될수 있는데 이삭여뀌는 잎이 호생(어긋나기)하고 줄기가 둥근데 쇠무릎은 잎이 대생(마주나기)하고 줄기가...
왕둥굴레
[성황림] 백합과
속속이풀
[원주천] 십자화과 여러해살이풀이다. * 속속이풀과 개갓냉이는 매우 비슷한데, 차이는 속속이풀은 잎의 결각이 매우 심하고 개갓냉이는 거의 결각이 없으며 잎을 씹으면 매우 맛이 난다.(송홍선 박사...
산팽나무
[성황림] 느릅나무과 중부 이북에 자라는 낙엽활엽수 교목이다. 나무껍질은 매끈하며 어린 가지에는 적갈색의 털이 있으며 잎은 어긋나기한다. * 왕팽나무와 산팽나무는 거의 비슷한데 잎자루에 털이 매우 많으면 왕팽나무이고 상대적으로 적으면 산팽나무다. 또 열매가 검은 색이면 왕팽나무, 등황색이면...
산겨릅나무
[오대산] 단풍나무과 깊은 산과 계곡, 산허리에 자라는 낙엽활엽수 교목으로 15m까지 자란다. 나무 껍질은 초록빛에 흰빛 줄이 세로로 나있으며 잎은 마주나기하고 길이 10cm정도로서 넓은 달걀모양 또는 원형이며 끝이 3∼5개로 얕게...
뱀무
[성황림] 장미과 산이나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식물 전체에 털이 많으며 어린잎은 나물로 먹고 전체를 약으로 쓴다. 뿌리잎이 무우를 닮았는데 먹지 않는다고 하여 뱀무라고 한다. * 큰뱀무와 뱀무의 차이점은 줄기에 털이 많으면 큰뱀무 줄기에 털이 적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