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악산 곧은재] 범의귀과 중부 이남 지역에서 자라는 낙엽활엽수 관목이다. 초본식물 착각하기쉬운 식물로 높이 1m 정도 자라고 줄기가 여러 개로 올라와 큰 포기를 만든다. 새로 자란 어린 가지는 연초록빛이고 오래된 줄기는 갈색으로 검은빛 점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고 양면 잎맥 위에 털이 있다. 6∼7월에 피는 꽃은 가지 끝에 산방화서로 핀다. 꽃은 7∼8월에 흰색과 하늘색으로 피며 주변에 넓은 꽃잎은 실제 꽃이 아니라 곤충을 유인하기 위해...
사진
미국자리공
[단구동] 자리공과 북아메리카 원산의 1년초로 높이가 1~1.5m까지 자란다. 줄기는 보통 적자색이 돌고 털이 없으며 잎은 호생(어긋나기)한다. 열매는 적색염료로 사용한바 있으며 음식물에도 사용했지만 설사를 일으키므로 좋지 않다고 한다. 또 열매를 이용해 가짜 포도주를 만들기도 했으며 임시적인 잉크로도 썼다고 한다 * 미국 자리공은 꽃이 아래로 처지고 자리공은 꽃이 처지지 않는다. 열매의 수도 미국 자리공은 약 10개 이상이고 자리공은 약 8개...
파리풀
[행구동] 파리풀과 산과 들의 음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열매는 끝이 갈고리 모양이어서 옷에 잘 달라붙는다. * 뿌리를 찧어 만든 즙액을 묻힌 종이로 파리를 잡기 때문에 '파리풀'이라고 한다.
쇠무릎
[봉화산] 비름과 산과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네모지고 50~100cm까지 곧게 자란다. * 줄기의 마디가 소의 무릎처럼 두드러지게 튀어나와 '쇠무릎'이라고 한다.
구절초
[행구동] 국화과 음력 9월 9일 약효가 가장 좋다고 하여 구절초라고 한다. 잎 모양이 재배하는 국화와 닮았고 꽃은 가지 끝에 한송이씩 핀다. 부인명에 좋다.
주둥이노린재(류)
[행구동 야산] 노린재목노린재과 주둥이노린재류는 산림에 서식하면서 다른 곤충의 체액을 빨아먹고 사는 포식성 곤충입니다
고삼
[행구동 야산] 콩과 햇볕이 잘드는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가 1m까지 자란다. 줄기는 어릴때 검은빛이 돌고 자라면서 녹색이 되며 뿌리를 건위와 구충제로 사용하고 신경통에도 사용한다.
개머루
[횡성] 포도과 산지에 자라는 낙엽활엽수 덩굴이다. 잎자루, 원줄기에 털이 많고 잎도 많이 갈라진다. 열매는 흰색 또는 보라색으로 익는다. * 머루와 다른점은 잎자루, 원줄기에 털이 많은 것이 다르다. * 머루는 울릉도에서 주로 자생하여 중부권역에는 개머루와 왕머루가 자생한다. 우리가 흔히 먹는 것은...
고마리
[단관근린공원]
박달나무
[치악산 곧은재] 자작나무과 전국에 자라는 낙엽활엽수 교목으로 나무높이 30m까지 자란다. 어린 가지는 벚나무처럼 피목(숨구멍)이 있고 굵은 줄기는 큰 조각으로 벌어진다. 잎 뒷면을 손으로 만지면 선점 때문에 약간 끈적끈적한 맛이 있다. 목재가 국산재 중 가장 단단한 나무의 하나이다. *박달나무는 단목(檀木)이라 하며 단군신화에 나오는 신단수를 박달나무로 생각하고 있다.(박상진 경북대...
큰괭이밥
[치악산] 괭이밥과. 고양이가 배가고프거나 소화가 안될때 뜯어먹는다고 해서 괭이밥이라고 한다. 잎 끝이 반듯하게 자른 것 같고 흰 꽃이 핀다.
할미밀망
[치악산 곧은재] 미나리아재비과 전국의 산에 자라며 한국특산종이다. 숲의 가장자리에 주로 자라는 낙엽활엽수 덩굴로 잎자루가 있는 3-5출엽이나 5출엽이 많으며 마주나기하고 잎 뒷면과 잎자루에 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