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산] 국화과 미국에서 들어왔으며 높이가 1m까지 자란다. 거센 털이 있으며 잎은 대생(마주나기)하고 3~5개로 깊게 갈라져 단풍잎처럼 생겼고 잎자루를 따라 양면에 거센털이 있다
자료
더위지기
[백운산] 국화과 낙엽관목 높이가 1m까지 자란다
뚝갈
[백운산] 마타리과 양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가 1m까지 자라며 흰털이 많다.
두꺼비
[백운산] 두꺼비과 암컷이 수컷보다 몸길이 길고 다리가 짧으며 등면은 갈색, 피부의 돌기부분은 검은색이다. 주로 습한곳에 서식하며 한국, 일본, 중국, 몽골에 분포한다. 두꺼비는 피부에 돌기가 많은데 이것이 독샘이다. 독 때문에 내성이 강한 유혈목이(뱀_내성이 강함)이만이 잡아먹는다고 한다. 알은 낚시줄처럼 길게 연결되어 있으며 독성이 매우 강하고 올챙이는 한꺼번에 수백마리가 몰려 다니거나 돌옆에 무리지어 있으며 검은색이다 *두꺼비와 개구리의 차이점 두꺼비는 99% 독이...
까치박달
[백운산] 자작나무과 전국자생 낙엽활엽수 교목으로 나무높이 15m, 지름 60cm까지 자란다. 나무 껍질은 회갈색으로 매끈하며 동그란 피목이 생긴다. 잎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이중톱니가 있다. 꽃은 암수 한 나무로 5월에 피며 이삭은 원통 모양으로 포가 서로 맞닿아 땅으로...
(큰)까치수영
[백운산] 앵초과 양지쪽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고로쇠나무
[백운산] 단풍나무과 전국 자생 낙엽활엽수 교목으로 나무높이 20m, 지름 50∼60cm에 이르게 자란다 목재는 단단하고 질겨서 체육관바닥, 건축재, 선박재, 기기재 등으로 이용한다. * 통일신라 말 도선국사가 백운산에서 좌선을 오랫동안하고 도를 깨우쳐 일어날려는 순간 무릎이 펴지지 않았다. 놀란 국사는 엉겁결에 옆에 있던 나뭇가지를 잡고 일어 날려하였으나 가지가 찢어져 버렸고 엉덩방아를 찧은 국사는 나뭇가지에서 물방울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보고 목을 추기기 시작하였다....
좀깨잎나무
[원주 백운산] 쐐기풀과 전국의 바위 틈, 하천 가, 논둑이나 밭둑 등 양지 바른 곳에 자라는 관목이다. 잎이 깻잎처럼 생겼으나 잎 크기가 작다는 의미에서 '좀깨잎나무'라고 불리게 되었다. 줄기는 겨울철을 지나는 동안 끝 부분이 마르고 죽으나 아래부분은 살아있어서 지름 2∼3cm에...
미역줄나무
[백운산 모니터링] 노박덩굴과 낙엽활엽수 덩굴 산꼭대기의 나무가 없는 열린 공간에 모여서 자라며 나무 껍질은 적갈색이고 작은 돌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기로 달린다
좀작살나무
[백운산 모니터링] [치악산 구룡사] 마편초과 전국 자생. 높이 2~3m의 낙엽활엽수 관목이다. 가지가 마주나기하며 굵고 단단하여 고기를 잡을 때 쓰는 작살을 만들기에 안성맞춤이므로 작살나무가 된 것으로 추측한다고 한다 열매는 지름 4∼5mm로 10월에 자주색으로 익으며 여러 개 뭉쳐서 달리는데 열매의 자주빛은 맑은 자수정을 연상할만큼 아름답고 겨울 내내 달려있다 *작살나무와의 차이는 잎이 좁은...
물레나물
[백운산] 물레나물과. 양지에 자라는 다년초로 높이 0.5~1m이고 원줄기는 네모가 지고 가지가 어릴때 잎이 고추나물과 비슷하지만 물레나물의 잎이 더 길고 끝이 조금 더 뾰족하다 꽃이 물레방아가 돌아가듯 나서 물레나물이라고 한다 두통과 고혈압에 효과, 지혈 작용, 종기에 약재로도...
참회나무
[치악산 곧은재] 노박덩굴과 전국에 자라는 낙엽관목 혹은 소교목으로 높이 3~6m까지 자란다. 잎은 대생(마주나기)하고 가장자리에는 가느다란 톱니가 있으며 꽃은 잎겨드랑이에 1개 또는 여러 개가 달린다. 꽃은 5~6월에 5개의 꽃잎을 가진 꽃이 긴 꽃대에 매달린다. 열매는 둥글고 구슬만하며 표면에 얕은 5개의 골이 지며 10월경에 붉은빛으로 익는다. * 회나무 종류는 열매가 달리지 않으면 구분이 거의 불가능하며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열매가 둥글고 5개의 능선으로 갈라지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