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군의 매립장 공중부양 계획이 사기극임이 밝혀졌다. 평창군 미탄면 도마치 매립장 공사현장에서 지하에 2500제곱미터규모의 공동이 발견되어 보강계획을 세웠지만 한시적 보강 효과만 있을 것으로 전문가에 의해 법정증언으로 밝혀져 주민들이 경악하고 있다. 지하 10미터 이하의 보강이 이루어 지면 그하부는 어떻하느냐는것. 시멘트에 의한보강의 내구수명은? 지하에서 일어난 시멘트 타설상태와 보강상태의 보장은? 쓰레기 썩는 200년간 버텨줄수 있을까? 상식적으로도 대답은 하나다. 공사방해금지. 공사중지기각 등에 이은 사건이라 주민들의 분노는 더욱 크다. 입지선정이전부터 동공이 발견되어 빗물이 빨려들어가자 평창군은 감추기에 급급한 행태를 보여 주민들이 분노한적도 있었다. 국비등 공사비가 100억 가까이 투자된 상황에서 지반침하 붕괴등이 필연적으로 일어날수 밖에없는 매립장이 동강과 남한강수계에 미칠 영향 등에 대하여 전문가는 매립장주변 주민들 못사는것도 문제지만 하류의 후손들이 살기 힘들어지는 게 더 문제라고 한다. 평창군의 19억 공사비 지출의 책임회피를 위한 무효판결후 2개월만에 시작한 행정의 무리한재추진이 몰고온 눈덩이처럼 커진 예산낭비 사태에 대하여 법정에 공사비지출로 인한 사정판결과 쓰레기 대란을 호소하며 매달리는게 처음부터 지금까지의 평창군이 매립장 소송에대한 일관된 태도이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