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갈퀴나물

[평창군 송천계곡] 콩과 산지나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작은 잎이 10~16장이고 잎 끝에 있는 덩굴손으로 다른물체를 감으며 자란다.

오이풀

[치악산] 장미과 산과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꽃잎이 없으며 어린줄기와 잎은 먹고 뿌리는 약으로 쓴다. 잎을 비비면 오이 냄새가 나서 '오이풀'이다.

개옻나무

[백운산] 옻나무과 전국에 자라는 낙엽활엽수 소교목으로 나무높이 7m까지 자란다. 나무 껍질은 회갈색이고 길이 방향으로 줄이 있으며 작은 가지는 갈색의 짧은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로 달리고 기수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13∼17개이며 잎자루는 짧고 붉은빛이다. 꽃은 암수 다른 나무로 원추화서에 달리며 4월에 엷은 노랑빛 꽃이...

도깨비부채

[평창군 송천계곡] 범의귀과 깊은산 음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가 1m까지 자라며 잎은 잎자루가 길고 5소엽이다. *산림청 희귀특산식물 / 환경부지정 국외반출승인 대상 식물

등칡

[평창군 송천계곡] 쥐방울덩굴과 경북 북부 이북에 자라는 낙엽활엽수 나무덩굴이다. 언뜻보기에 칡과 혼동되며 꽃의 모양은 마치 트럼펫을 연상케한다. 새 가지는 초록빛이지만 줄기는 회갈색으로 코르크화 되며 잘게 갈라졌다. *산림청 지정 희귀 특산식물 / 환경부지정 국외반출승인 대상...

개쉬땅나무

[평창군 송천계곡] 장미과 중부 이북에 자라는 낙엽활엽수 관목으로 높이 1.5∼2m까지 자란다.

우산나물

[백두대간 벌재~차갓령] 국화과 산지의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어릴때는 털이 많은데 점차 없어지며 잎은 7~9개로 갈라지고 갈래 조각이 다시 갈라진다.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톱니가 있으며 새순이 날때는 접은 우산같고 자라면 펼친 우산같다. 잎이 우산 모양을 닮았고 나물로 먹는다고하여...

혹느릅나무

[평창군 송천계곡] 느릅나무과 느릅나무와 거의 같은 모양이나 가지에 짧은 코르크 날개가 발달한다.

매발톱꽃

[평창군 송천계곡] 미나리아재비과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에는 털이 없고 뒷면은 분을 바른 듯 흰빛이 돈다. 아래로 핀꽃에서 위로 뻗은 긴 꽃뿔이 매의 발톱을 닮아 매발톱꽃이라고 한다 하늘빛 꽃이 피는 것은 하늘매발톱이라...

개다래

[평창군 송천계곡] 다래나무과 전국에 자라는 낙엽활엽수 덩굴로 길이 10m까지 자란다. * 다래를 구분하는 방법으로는 백화현상이 나타나면 개다래와 쥐다래인데, 쥐다래의 백화현상은 잎 의 일부 혹은 전부가 흰색 또는 옅은 분홍색으로 변한다. 또 줄기속이 옅은 갈색의 계단모양이면 다래, 흰색으로 꽉차있으면 개다래, 짙은 갈색으로 계단모 양이고 잎뒤와 엽병에 털이 많으면 쥐다래이다. * 백화현상의 이유 - 덩굴식물은 꽃이 잎 아래 펴서 곤충이 쉽게 볼 수 없어 잎을 꽃으로 착각하게...

애기수영

[백운산] 마디풀과 산지, 길가 풀밭 등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잎은 여러장이 모여나며 창모양이고 줄기에는 세로줄이 있다. 잎과 줄기는 신맛이 난다. 유럽원산의 귀화식물로 잎과 꽃이 수영보다 작아서 애기수영이라...

산뽕나무

[백운산] 뽕나무과 전국 자생 낙엽활엽수 교목이다 열매는 오디라 하여 생식하고 쨈, 파이 등을 만들고 술을 담구어 먹기도 함 뽕나무와 거의 비슷하나 산뽕나무는 잎의 끝이 꼬리처럼 길고 뽕나무(Morus alba Linn)는 점점 뾰죽해 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