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악산] 미나리아재비과 산골짜기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굵은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무리지어 자라고 꽃은 3월말~5월에 걸쳐 핀다.
자료
왜현호색
[치악산] 현호색과 산지의 습한 지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포의 가장자리가 믿믿하다. * 현호색은 잎으로도 대부분 구분됩니다. 덩이줄기가 뚜렷하게 다른 것은 좀현호색(묵은 것과 새 것 2개), 들현호색(여러 개 달림) 등입니다. 흔히 보이는 것(잎가장자리가 밋밋함)은 왜현호색입니다. 그리고 최근 여러 종류가 신종으로 보고돼 있어 복잡할 수 있으나 중부권에서 보이는 것은 구분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집니다.(민속식물연구소 송홍선...
현호색
[치악산] 현호색과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습한지역에서 잘 자란다. * 현호색은 잎으로도 대부분 구분됩니다. 덩이줄기가 뚜렷하게 다른 것은 좀현호색(묵은 것과 새 것 2개), 들현호색(여러 개 달림) 등입니다. 흔히 보이는 것(잎가장자리가 밋밋함)은 왜현호색입니다. 그리고 최근 여러 종류가 신종으로 보고돼 있어 복잡할 수 있으나 중부권에서 보이는 것은 구분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집니다.(민속식물연구소 송홍선...
산괴불주머니
[치악산] 양귀비과 산지에서 자라는 2년생 초본(풀)이다. 괴불주머니는 복주머니를 장식하는 노리게의 우리 이름으로 꽃이 괴불주머니를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고라니
[치악산, 설악산 장수대] 우제목 사슴과 세계에서 우리나라와 중국 양쯔강 일부 유역에만 분포하며 우리나라에 특히 많이 살아 한국의 대표적인 야생동물로 볼 수 있다. 영국과 프랑스의 일부 지역에 사냥용으로 도입되어 살고 있다. 사는곳과 생활 물억새가 무리지어 자라는 강가처럼 물이 있는 땅을 좋아하며 논밭 근처 낮은 산에도 많이 산다. 암수 모두 뿔이 없으며 수컷은 날카로운 송곳니가 나와 있다 배설물 똥은 물기가 있는 먹이를 자주 먹는 습성때문에 겨울에는 똥이 조금씩 일그러지는...
왜가리
매지호 처음 조사시 2개체가 관찰 되었었지요. 겨울엔 관찰되는 개체수가 많지 않지만 2월말 부터 관찰되는 개체수가 많아지며, 번식을 합니다. 집단 번식지에서는 다른 종에 비해 먼저 번식을 시작 하며, 이어서 중대백로 등이 3월경 도착하여 번식 합니다. 사진 역시 예전의 모습이며 어린새...
방울새
매지호에서 관찰되었던,,,, 지저귐이 이뻤던 녀석들이지요. 사진은 예전에 찍었던 유조 입니다. 성조는 더 이쁜 모습을 하고 있지요.
곤줄박이
매지호에서 잠깐 보았던 ,,,,,곤줄박이 입니다. 대표적인 산림성 조류이나 겨울에는 낮은 야산이나 평지까지도 내려 옵니다. 시골에 사시는 분들께서는 겨울에 땅콩같은 견과류로 유인하여 자세히 관찰가능합니다.,,, 역시나 사진은 예전의...
직박구리
매지호 모니터링시 나는 모습만 ,,,, 지저귐만 들려주었던 녀석입니다. 사진은 예전의 자료 입니다.
박새
매지호,,모니터링 하면서 보았던 박새 입니다. 겨울에 찍은 자료가 없어 예전에 찍었던 자료를 올려 봅니다. 박새로 검색하여 쇠박새와 비교해 보면 좋을 듯 싶습니다. 넥타이,,,,,^^;
처녀치마
[치악산] 백합과 높은 산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봄에 뿌리잎 가운데 꽃줄기가 올라와 끝에 꽆이 여러송이 핀다. 잎이 처녀의 치마를 닮았다고 하여 '처녀치마'라 한다.
참빗살나무
[백두대간 죽령~저수령] 노박덩굴과 전국의 산지에서 자생하는 낙엽활엽수 소교목이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긴 타원형이나 모양이 일정하지 않고 변이가 많으며 고르지 않은 둔한 잔톱니가 있다. 열매는 심장형으로 밑부분이 가늘게 되고 4개의 능선이 있으며 홍색으로 익으면 4개로 갈라지고 종자 껍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