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6억 투입 2017년 완공예정, “소하천이라 효과 미미” 반발 한계레 2012. 11. 26 박수혁 기자 강원도 원주시가 도심 하천인 원주천 상류에 홍수조절용 댐을 건설하기로 했다. 환경단체들은 ‘예산만 낭비할 것’이라며 반대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원주시는 26일 원주지방국토관리청이 수립한 섬강수계유역종합치수계획에 따라 2017년까지 사업비 436억원을 들여 판부면 신촌리 신촌천 일대에 높이 40m, 깊이 240m, 총 저수용량 292만t 규모의 홍수조절용 댐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치수계획을 보면, 신촌천뿐 아니라 금대천 등 2곳에 댐을 건설하고 시내에 추가로 2곳의 저류지를 만들면 원주천 주변 지역의 홍수를 예방하고 가뭄 피해를 해소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돼 있다. 이에 대해 환경단체들은 “홍수 예방 효과가 적어, 막대한 혈세만 낭비하게 될 것”이라고 즉각적인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환경단체들이 홍수 예방 효과가 적다며 반발하는 것은 댐이 건설되는 신촌천이 원주천 상류에 있는 6개 지류 가운데 가장 작은 소하천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시가 우려하는 것처럼 원주천이 넘칠 정도의 폭우(100~200년 주기)가 온다면 신촌천에서 흘러드는 물을 막아봐야 나머지 5개 지류에서 동시에 흘러드는 물 때문에 홍수 예방 효과가 미미할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이승현 원주녹색연합 사무국장은 “무조건 댐을 건설해야 좋다는 식의 논리는 국토를 파괴하여 돈을 벌려는 토건 지방정부의 모습이다. 원주천 댐 건설의 타당성을 논의하기 위해 협의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경준 원주환경운동연합 팀장도 “시가 신촌천에 댐을 건설하면 홍수를 방지할 수 있다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해마다 여름철 집중호우로 원주천 둔치 주차장이 물에 잠기는 문제에 대해서도 원주시는 “댐을 건설해야 차량 침수 및 상습 침수지역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환경단체는 “하천 부지를 부적절하게 이용한 데 따른 것으로 홍수 피해로 볼 수 없다”고 밝혀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권혁수 원주시청 건설과 하천관리담당은 “재해 예방 사업은 당장 효과를 기대하거나 경제적인 논리로만 봐선 안 된다. 환경단체에서 제안한 협의회 구성은 의견 수렴 차원에서 검토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