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 원전 확정] 전국 사회단체 반대여론 확산

2012년 9월 17일 | 활동소식

[삼척 원전 확정] 전국 사회단체 반대여론 확산 경제계 안전성 우려 신중 입장 “여론 충분히 수렴 후 선정했어야” “주민 위한 확실한 인센티브 필요” 강원도민일보 2012.09.15 정성원·이상헌 삼척시 근덕면 일대가 원자력발전소 예정지역으로 고시되면서 강원도가 팽팽한 긴장감에 휩싸였다. 각계 반응을 긴급 점검했다. 도내 사회단체는 이날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지만 찬성보다는 비판적인 시각이 우세했다. 이승현 원주녹색연합 사무국장은 “핵발전소 건립과 관련한 주민소환투표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정부가 부지를 선정해 발표한 것은 삼척 주민들을 기만한 것”이라며 “투표 등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후 부지를 선정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성철 강원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사무처장은 “후쿠시마 사태에서 보여진 것처럼 원자력발전소는 매우 위험하다”며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지를 발표 함에 따라 반대 목소리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헌섭 강릉 경실련 사무국장은 “정부는 전력 비상 운운하며 지역 주민들의 의견은 일체 무시한 채 원자력 발전소의 필요성만을 강조하고 있다”며 “이번 발표는 타협의 길까지 끊은 것”이라고 밝혔다. 반대 여론은 전국적으로 확산됐다. 환경단체들의 연대체인 ‘핵없는 사회를 위한 공동행동’은 14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기자 회견을 열고 정부가 강원도 삼척과 경북 영덕을 신규 원자력발전소 예정구역으로 지정한 것을 규탄했다. 공동행동은 이날 “삼척과 영덕은 2024년 이후에나 추진될 신규 원전을 위한 부지로 2010년 발표된 5차 전력수급계획에도 없는 지역”이라고 지적한 뒤 “대선 후보들도 탈(脫)원전사회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등 원전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때 신규원전 부지를 예정보다 4개월이나 당겨 발표한 것은 원자력 마피아의 초조함이 표출된 것”이라고 꼬집었다. 도내 경제계는 안전성을 내세우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표명했다. 전수산 도상공회의소협의회장은 “원전 문제는 정부 지원 등으로 지역발전을 기대하는 측면이 있고 장기적으로는 재앙이 될것이라는 관측이 있어 섣부르게 판단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동기 대한건설협회 도회장은 “원전 유치를 반대하는 주민들이 많아 우선은 절충점을 찾는 것이 시급하다”며 “지역주민들을 위한 확실한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일부 단체는 “원자력발전소 건설은 삼척 뿐 아니라 인근 지역의 경제효과와 고용창출 등의 수혜를 가져올 수 있다”며 “발전적 대안이 모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