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푸니 너도나도 골프장‥갈등 넘어 경제문제로 MBC | 김연국 기자 2011.02.13 [뉴스데스크] ◀ANC▶ 최근 5년 사이 골프장이 급증한 이유는 정부가 규제를 대폭 푼 데다, 개발업자들이 돈이 된다며 너도 없이 뛰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지금도 역시 골프장 건설을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대로 놔둬도 될까요. 김연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VCR▶ 강원도 춘천에 건설 중인 골프장입니다. 산소 하나만 덜렁 남기고, 주변을 절벽처럼 깎아냈습니다. 골프장 시행업자가 주민들 땅을 강제수용하면서 벌어진 일입니다. ◀INT▶ 김남철 “대대로 내려오는 산소인데요, 이렇게 골프장 만든다고 강제수용이 돼가지고 이렇게 파헤쳐놨지 않습니까.” 현행법에 따르면 골프장 사업자는 전체 땅의 80%만 확보하면, 나머지 20%는 강제수용할 수 있습니다. 골프장이 공익시설로 돼있기 때문입니다. 위헌 소송이 제기됐지만, 헌법재판소는 4년째 심의만 하고 있고, 국회에 법 개정안도 제출됐지만 역시 1년 째 잠만 자고 있습니다. 법 개정안을 발의한 여당 의원은 골프장 개발업자들의 로비와 협박에 시달렸다고 말했습니다. ◀INT▶ 김성태/한나라당 의원 “엄청나게 한다고 봐야죠. 우리 같은 사람들한테도 ‘밤길 조심해라’ 이런 소리를 엄청 많이 들었습니다.” 2004년 이후 정부는 골프장 규제를 대폭 풀었습니다. 지난해에는 31년 이상 된 숲도 베어낼 수 있게 했습니다. ◀INT▶ 한봉호 교수/서울시립대 조경학 “그렇게 됐을 경우에는 3천 개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더 이상 골프장을 제어할 수 있는 수치로서는 무의미해진 거죠.” 자치단체들은 세수와 고용을 늘리겠다며 앞 다퉈 허가를 내줬습니다. 하지만 18홀 골프장 한 곳 당 지방세는 2-3억 원, 지역 주민 고용은 일용직 3-40명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현재 공사 중이거나 허가받은 골프장이 110개, 추진 중인 골프장도 146개입니다. 골프장은 이제 환경훼손, 주민과의 갈등 차원을 넘어 국민경제적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MBC뉴스 김연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