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원주시 도심하천 ‘댐건설 실효성 논란’ 유수량 확보·집중호우 인한 범람 막기 위해 필요.. 환경단체, 환경파괴·실효성 문제 제기 cbs 박정민 기자 2010-09-27 강원도 원주시가 추진을 검토 중인 도심하천 상류 댐 건설에 대한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다. 테마가 있는 뉴스Why뉴스최승진 포인트 뉴스李 대통령 “군 긴장 이완됐다” 과감한 개혁 강조소외어린이에게 우유…폐휴대폰의 기적화동양행 “희귀 화폐를 잡아라”시는 지난 21일 2백밀리미터가 넘는 집중호우가 쏟아지면서 원주천 둔치 주차차량 36대가 침수, 유실되는 피해가 발생되자 후속대책으로 상류지역에 소규모 댐 건설을 시사하고 나섰다. 갈수기 건천이 되는 원주천의 수질개선을 위해 일정한 유수량을 확보하고 집중호우로 인한 범람을 막기 위해 저수용 댐을 건설,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게 원주시의 입장이다. 시관계자는 “2005년 원주지방국토관리청이 수립한 원주천 하천정비기본계획에서 홍수 방지를 위해 원주천 상류인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와 신촌리 두 곳에 댐 건설의 필요성이 제기됐고 원주시와의 공청회를 거쳐 추진은 확정된 상태”라고 말했다. 그러나 1천 445억원의 국비 확보문제로 건설이 장기정비계획에 포함됐던 원주천 상류댐 건설은 이번 폭우 피해를 기점으로 추진을 앞당기자는 재논의가 시작된 것. 이에 대해 이광재 강원도지사도 22일 원주 수해현장 방문 중 지원 의사를 밝히며 댐 건설 검토에 힘을 보탠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환경단체와 환경전문가들은 환경파괴와 실효성에 문제를 제기하며 반대 의견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원주녹색연합 이승현 사무국장은 “원주천 상류에 댐을 건설하게 되면 규모와 상관없이 부유물에 의한 수질오염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또 “원주천 상류는 치악산국립공원 구역과 맞물려 있어 댐 건설에 따른 생태계 파괴도 우려되는 대목”이라며 신중한 판단을 촉구했다. 댐 건설보다 하천변에 인공구조물을 최소화하고 도심의 담수 기능을 극대화하려는 노력도 주문됐다. 관련기사 인천 ‘집중호우’ … 복구작업 총..인천지역 밤새 집중호우…곳곳 피해 ..집중호우로 섬진강 범람, 곡성·구례 .. 원주천 생태하천조성사업협의회 이차복 자문위원(서울대 지리학과 박사과정)은 “이번 원주천 범람은 정확하게 말하면 하천 수위상승에 따른 둔치 침수”라며 “차량 침수, 유실 피해는 둔치 주차정책이 빚은 인재”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작 관심을 가져야할 것은 댐이 아닌 원주천 둔치와 주변에 급증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라며 “녹지공간 대신 콘크리트 구조물이 늘면 담수기능이 사라지게 돼 갈수기때는 건천화를, 폭우가 내릴때는 갑작스런 수위상승을 자초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이 자문위원은 또 “원주천처럼 지류가 산재된 하천에서 상류에 댐을 건설해 수위를 조절하겠다는 발상 자체도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가장 시급한 것은 하천의 기본 기능인 통수 기능을 높이려는 고민”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