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의 한 골프장 전경(자료사진) 청정 강원..길 뚫리자 골프장들 `우후죽순’ 도내 36곳 건설 또는 추진중..’골프道’ 우려 조 우 교수 “환경영향평가 제3의 기관이 맡아야” 연합뉴스 2010-03-12 금 청정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강원지역에 골프장 건설이 러시를 이루면서 대규모 산림환경 훼손과 주민과의 갈등 등 개발에 따른 부작용이 심화되고 있다. 강원지역은 경춘고속도로와 춘천~동홍천 간 고속도로 개통으로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면서 최근 춘천과 홍천, 횡성, 원주 등 영서지역에 골프장 건설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영서지역에 건설되는 골프장들은 대부분 고속도로 나들목이나 국도에서 인접한 교통 접근성이 뛰어난 곳이어서 인근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하는 등 심각한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도내 8개 골프장 반대대책위원회는 11일 전국 15개 골프장 반대대책위, 녹색연합 등과 함께 여의도 국회의원 회관에서 전국골프장대책위원회를 발족하고 공동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12일 강원도에 따르면 현재 도내에서 운영중인 골프장은 39개(면적 3천451만3천500㎡)이며 건설중인 곳이 22개(2천275만7천400㎡)에 추진중인 곳이 14개(1천789만2천400㎡)에 이르고 있다. 이 가운데 춘천과 홍천, 횡성, 원주 등 영서지역 4개 시.군에 18개 골프장이 운영중이며 건설 또는 추진되고 있는 골프장의 경우 전체 36개 중 28개가 집중돼 있다. 원주 신림면 구학리 일대 87만여㎡에 추진중인 여산골프장의 경우 주민들과 환경단체에서 지하수 고갈과 환경훼손 등을 이유로 건설반대 활동을 벌이고 있다. 대책위는 “이 일대는 산지가 99%에 달하고 생태 2등급에 해당하는 우수한 자연환경을 가진 곳으로 골프장이 들어서면 심각한 산림파괴가 우려된다”며 “특히 허위 산림조사 사실이 밝혀진 만큼 원주시는 산지전용 허가를 취소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홍천군 북방면 구만리도 W업체가 1천190억원을 들여 153만892㎡에 27홀 규모의 골프장을 조성할 계획이나 주민들과의 갈등이 심화하면서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 구만리골프장반대대책위는 “임목축적 조사에 문제가 발견된데다 멸종위기종에 대한 보완조사 등 환경청의 협의내용을 이행하지 않고 공사를 강행하고 있다”며 공동조사 실시와 허가 취소 등을 요구하며 갈등을 빚고 있다. 춘천의 경우도 남산면 광판리와 군자리 일대 총 815만6천794㎡에 114홀 규모의 골프장과 콘도미니엄이 건설이 추진되면서 주민들이 “골프장이 들어서면 식수마저 고갈될 위기에 처한다”며 반대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시에 탄원서를 내는 등 개발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이밖에 횡성 서원면과 강릉시 구정면 등 도내 곳곳에서 골프장 건설에 따른 환경훼손을 우려하는 주민들의 반발이 잇따르고 있다. 상지대 조 우(관광학부)교수는 “골프장 건설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교통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면서 영서지역이 개발업자들이 선호하는 곳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대규모 산림생태계 파괴가 불가피한 만큼 지자체는 장기적인 도시발전 계획과 연계해 골프장 유치를 고민해야 하고 강원도만의 자연환경에 대한 가치평가를 통해 개발의 적정성을 세밀히 검토해야 한다”라고 충고했다. 그는 또 “개발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현재 사업자가 시행하고 있는 환경영향평가 등을 제3의 기관이 맡아 객관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원주=연합뉴스) 김영인 기자 = kimyi@yn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