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캠프롱 오염조사’ 부실 논란

2009년 6월 10일 | 활동소식

환경부 ‘캠프롱 오염조사’ 부실 논란 녹색연합 “시료채취 규정 어기고 지하수는 손도 안대” 국민일보 [2009.06.10 18:44] 지난해 3월 기름유출 사고가 발생했던 강원도 원주 캠프 롱 지역의 토지정화 작업이 11일 시작된다. 환경단체들은 환경부가 환경기초조사를 부실하게 실시했다며 작업 중단을 요구해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녹색연합은 10일 ‘미군기지 캠프 롱 2단계 환경조사 결과의 문제점’이라는 보고서를 내고 “캠프 롱 지역의 환경복원에 앞서 실시된 정밀조사가 토양 시료 채취지침을 지키지 않았으며 지하수 오염 여부도 조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환경 기초조사 지침’에 의해 기름 같은 유동성 물질에 토양이 오염됐다고 판단될 경우 5m 이상 땅을 파서 m당 한 점씩 시료를 채취해야 한다. 그러나 환경부는 2∼3m까지만 시료를 채취했다. 보고서는 또 기계장비를 사용해 지하수 연결지점까지 시료를 퍼 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해당 오염지역이 과거 농경지였고 성분이 점토질이어서 기름이 깊이 침투하지 않았다”며 “지하 2m부터는 기름이 나오지 않아 3m까지만 채굴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동행한 환경관리공단 전문가들이 오염물질이 지하수까지 확산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녹색연합 서재철 국장은 “환경부가 규정을 지키지 않고 엉성하게 조사하면 앞으로 미군과의 협상에서 제 목소리를 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원주지역 시민단체들도 “캠프 롱 지역 환경조사 결과 보고서가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환경부와 원주시는 복원 계획을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이승현 원주녹색연합 사무국장은 “캠프 롱 오염지역은 사질토와 점토로 이루어졌으며 사질토는 기름이 쉽게 스며들기 때문에 당연히 지하수를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환경부는 이날 주한미군, 원주시와의 협의를 거쳐 오염된 토양을 완전히 정화키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환경부 조사에 따르면 오염지역 면적은 52.8㎡, 오염토양의 부피는 76.0㎥으로 나타났다. 원주시는 정화작업이 끝나면 비용을 정부에 청구하고, 정부는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 규정에 따라 미군 측과 비용분담을 협의한다. 임항 환경전문기자, 원주=변영주 기자 hngl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