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프롱 사태, 좌시하지 않을 것” 16개 시민사회단체 공동대응 계획

2008년 5월 14일 | 활동소식

“캠프롱 사태, 좌시하지 않을 것” 16개 시민사회단체 공동대응 계획 2008년 05월 13일  캠프롱 기름유출 사고에 대해 미군 측이 책임을 회피하고 있는 가운데 원주지역 시민사회단체가 공동 대응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원주녹색연합과 원주환경운동연합 등 원주지역 16개 시민사회단체는 7일 공동성명을 내고 “미군측이 오염원인자 책무를 다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이를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SOFA 절차는 주한미군의 환경오염 사고 발생 시 10일 이내에 환경부, 자치단체 등이 포함된 실무그룹을 구성해 오염원인을 분석하고 제거조치 등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미군측은 “부대 밖은 한국이 알아서 처리하면 된다, 공동조사는 없다”는 일방적인 주장만 하고 있다”며 “우리는 미군 측의 오만한 태도에 실망과 분노를 금할 수 없음을 밝히며 한·미간 실무그룹을 통한 공동조사 진행을 재차 촉구한다”고 밝혔다.  단체들은 14일 캠프롱 앞에서 기름유출 사고에 대한 미군측의 안이한 대응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후 공동대응 방안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앞서 지난달 23일, 이번 사고와 관련해 처음으로 ‘SOFA 환경분과 위원회’ 한·미 실무자 회의가 개최됐지만 미군 측은 “오염사고 발생 후 신속하게 방제작업 등 필요한 조치를 했으며 유출된 기름의 종류는 디젤로 유출량은 약 110갤런 정도”라고 밝혔을 뿐 정작 중요한 부대 밖 오염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추가로 발견된 기름유출 사고에 대해서도 전혀 거론하지 않았고 한국 측이 공동조사와 복원 등을 요구하면 실무자 회의조차 열지 않겠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원주시는 부대 밖 오염을 복원하고 국가를 상대로 배상금 청구소송을 제기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으나 승소하더라도 국가가 항소하면 배상금을 받아내는 데 몇 년이 소요될지 모르는 상황이어서 이렇다 할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  원주시 관계자는 “SOFA 규정상 중대한 오염사고에만 공동조사를 하게 돼 있어 미군 측에서 이번 사고를 중대한 사고로 여기지 않으면 공동조사나 복원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원주투데이 김선기 기자 skkim@wonju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