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8개 사회단체 환경문제·주거환경권 침해 공동대응키로 공동행동 조직화 주력 … 경관보존조례 제정 첫 목표 원주지역 사회단체들이 미래 원주의 새로운 패러다임(어떤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지배하고 있는 이론적 틀)을 구성하기 위한 움직임을 시작했다. 50만 도시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는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점을 극복하는 한편, 더 나아가 도시 발전방향의 큰 물줄기를 돌리겠다는 취지이다. 지난 6일 개최된 첫 모임에는 원주환경운동연합과 전국노동자회, 희망사회당 강원도당, 원주녹색연합, 원주협동조합운동협의회, 원주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매지농악보존회, 민주노동당 원주시위원회 구성원들이 참석했다. 단체들은 앞으로 각종 사안에 대한 단발적 의견개진 보다는 원주시가 주도하고 있는 도시계획 추진 전반에 걸쳐 공동의 목소리를 내기로 합의했다. 특히 개발과정에서 파생되는 환경문제와 서민들의 주거환경권 침해에 대해서는 대응 방안을 마련, 실천하기로 했다. 모임 관계자는 “개발이 사회 양극화를 부추기고 서민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현상이 원주도 예외가 아니다”며 “소위 말하는 개발호재에 따른 아파트 가격 상승이 서민들의 주거권을 위협하는 게 단적인 예이다”고 밝혔다. 또 “개발 이데올로기가 도시 발전방향을 지배하게 되면 양극화뿐 아니라 복지, 환경, 교통, 문화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 많은 문제점이 파생될 수 밖에 없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비용은 고스란히 서민의 몫으로 돌아올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단체들은 이와 같은 내용의 실천을 위해 별도의 조직을 구성하지는 않되 공동행동 조직화에 주력하기로 했으며 뜻을 같이 하는 단체의 참여를 독려할 계획이다. 첫째 목표는 경관형성조례 또는 경관보존조례가 제대로 제정될 수 있도록 힘을 모으는 일. 단체들의 공동노력이 개발 대응 논리를 마련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 김선기 기자 – 원주투데이 2007년 7월 17일 사회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