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민일보]환경단체 “원주천살리기”반박

2005년 9월 28일 | 활동소식

환경단체 “원주천 살리기” 반박 감사원 ‘단계천 수질 정화시설’ 예산낭비 지적 【원주】 속보= 원주시 단계천 수질정화시설이 중복투자에 따른 예산낭비라는 감사원의 지적(본보 9월 27일자 16면 보도)에 대해 원주지역 환경단체들이 반론을 제기, 논란이 일고 있다. 감사원은 지난 23일 끝난 원주시 감사에서 현재 80%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는 단계천 수질정화시설이 원주시의 부실한 정책판단에 의한 전형적인 예산낭비 사례라고 지적했다. 이번 감사에 따르면 단계천 하천수는 현재 여유있게 운영되고 있는 하수종말처리장임에도 불구, 원주시가 27억원의 예산을 들여 별도의 수질정화시설을 설치해 예산을 낭비하고 있다는 것. 이에 대해 원주지역 환경단체들은 “원주천을 살리기 위해서는 단계천과 같은 인근 하천수의 유입을 통한 유량 확보가 열쇠”라며 “하천수가 하수종말처리장에 유입돼 처리될 경우 원주천 물이 더욱 줄어들어 건천화 등 최악의 부작용을 발생시킬 우려가 높다”고 감사원 지적에 반론을 제기하고 있다. 이들은 또 “현재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15ppm 수준인 단계천의 수질은 하수종말처리장의 방류수질과 비슷해 만약 하천수가 유입되면 용량 과부화와 처리조건 변동 등으로 처리장의 방류수질이 오히려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감사원 지적에 대해 이례적으로 환경단체들이 반박하고 나선 것은 단계천 수질정화시설이 장기간 시민여론을 수렴해 추진하고 있는 원주 최대 숙원사업인 원주천 살리기의 기초사업이기 때문이다. 만약 이번 감사원 지적에 따라 사업이 중단될 경우 향후 만종천과 소일천 등지의 수질정화시설 조성 계획도 취소될 수밖에 없어 자칫 원주천 살리기 사업 자체가 원점으로 돌아갈 우려가 높다는 것이 환경단체들의 입장이다. 원주녹색연합 이승현 연구실장은 “중·장기적으로 볼 때 단계천 수질정화시설은 원주천 유량을 늘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원주 실정을 고려해 이번 감사원의 지적은 재검토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태욱 tae92@kado.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