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서]봉화산 탐방로(등산로) 훼손 실태조사 결과 의견서 발송

2006년 6월 8일 | 보도자료

녹색은 생활이다..!! Green is life..!! 󰂕우)220-931 원주시봉산동1184-5 1층 / 전 화 : 033-731-7306 전 송 : 033-731-7306 공동대표 : 최재석 김경현 정유선 / E-mail : wonjugp@hanmail.net / 담 당 : 이승현 문서번호 : 2006 – 009 시행일자 : 2006. 5 . 18 수 신 : 원주시장 참 조 : 산림공원과 제 목 : 단계동 봉화산 탐방로(등산로) 정비 제안의 건 1. 안녕하세요. 시정업무에 노고가 많으십니다. 2. 원주녹색연합은 회원의 회비로 운영되는 순수 민간환경단체입니다. 3. 원주의 도심이 급격하게 팽창하는 과정에서 인근의 작은 산들이 시민들의 탐방공간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특히, 단계동의 봉화산은 이전부터 원주시민들이 주로 찾는 공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원주녹색연합에서는 원주시민들의 가장 즐겨찾는 단계동 봉화산 탐방로(등산로)의 하예작업 상황, 등산로 실태 등에 대한 조사를 아래와 같이 진행하였습니다. 이에 그 결과와 우리단체의 의견을 전달합니다. 5. 기타 문의사항은 사무국(033-731-7306)으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가. 일 자: 2006년 5월 4일(목), 7일(일) 나. 장 소: 원주시 단계동 봉화산 일대 및 주 등산로 다. 내 용: 봉화산 등산로 인근의 하예작업 상황, 샛길 훼손현황, 노폭의 확대 정도, 수목의 뿌리노출 훼손현황, 노면세굴 훼손현황, 운동시설 및 차단시설 실태 등 ※붙임: 봉화산 등산로 조사결과에 따른 의견서, 현장 사진 다수. 공동대표 최재석 김경현 정유선 ========================================================================================= 의 견 서 1. 탐방로(등산로) 훼손에 대한 의견 ○노면 침식 -봉화산을 찾는 탐방객의 증가에 따른 과도한 노면 답압으로 인한 침식과 강우시 지표수에 의한 침식, 해빙기의 부적절한 이용 등이 원인으로 보이는 노면침식이 심각한 탐방로가 다수 있었습니다.(붙임 사진 참조) ○노면 세굴 -탐방로의 노면침식이 가속화되면서 강우시 노면의 낮은 부분을 따라 흐르는 지 표수의 흐름이 반복되는 과정으로 심각한 세굴이 발생(최고 깊이 80cm)하여 탐 방로가 훼손된 지역이 다수 있습니다.(붙임 사진 참조) ○수목뿌리 노출 -탐방로의 과도한 이용으로 노면의 침식과 세굴이 반복되면서 노면을 덮고 있던 토양이 유실되어 탐방로 주변 수목의 뿌리가 노출되는 훼손지역이 매우 많습니 다.(붙임 사진 참조) ○계단 불편으로 노면확대 -기존에 설치한 탐방로의 계단과 비탈면 보호시설의 세굴현상이 심각하여 탐방객 의 안전 위협과 함께 이동 간 우회를 조장하여 샛길 및 노폭이 확대(최대 폭 350cm)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어 탐방로의 훼손을 가중시키고 있는 지역이 다 수 있습니다.(붙임 사진 참조) ○샛길로 인한 노면확대 -탐방로의 노면 침식과 강우시의 세굴 및 배수 불량 등으로 훼손된 탐방로가 보 행시 불편함을 줌으로 인해 기존 탐방로에서 갈라진 별도의 공간으로 보행이 이 루지면서 훼손된 현장(최대 폭 6m)을 다수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붙임 사진 참 조) 2. 시설물 훼손에 대한 의견 ○운동과 휴식시설 부식 및 훼손 -원주시에서 시공한 시설로 판단되는 약 14곳의 운동시설들이 다수 부식되어 훼 손되거나 파손되어 제 기능을 못하고 있으며 일부 시설은 탐방로의 노면이 확대 되면서 탐방로 중앙에 자리 잡고 있는 곳도 있었습니다.(붙임 사진 참조) ○안전시설과 탐방객 차단시설 훼손 -봉화산 택지의 조성에 따른 일부지역 절개지에 대한 탐방객의 안전을 위해 설치 한 각종 시설물이 심각하게 훼손된 곳이 있으며 “생태복원 차단지역”이라는 안 내표지와 함께 설치된 차단시설은 형식적인 설치로 판단되는 곳과 함께 훼손되 어 방치되는 곳도 다수 있었습니다.(붙임 사진 참조) 3. 향후 대책에 대한 의견 ○탐방로 및 탐방객 이용시설물에 대한 실태조사 필요 원주녹색연합이 전문가를 동행한 현지 조사를 진행한 결과 현재 봉화산 탐방로는 다수 지역이 탐방로의 노면확대와 세굴현상, 주변 운동시설의 부식과 훼손, 주 탐 방로가 아닌 오솔길 형 탐방로의 형성 등으로 심각한 훼손상황을 맞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습니다. 이에 봉화산의 주요 탐방로와 시설에 대한 실조사가 선행 되 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체계적이고 생태적인 탐방로 정비 필요 생태, 토목, 건축 등 가능한 분야별 전문가의 자문을 통한 탐방로 정비계획을 세 우고 공사를 진행한 후 다시 모니터링을 하고 평가 후 반영하는 등의 체계적이고 생태적 탐방로 정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탐방객과 함께 하는 봉화산 지키기 필요 원주 시청사와 무실동 택지, 봉화산 택지 그리고 대명원 택지개발 등이 진행됨에 따라 봉화산은 도심 안에 갖힌 공간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도심내의 녹지공간으로서 그 역할이 바뀌고 있어 향후 더욱더 많은 시민이 찾을 것으로 예 상됨에 따라 탐방객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형태의 관리방법이 필요하 다고 생각합니다. ○봉화산의 역할에 고찰 필요 근간 도시지역의 숲은 경제림으로서의 기능보다는 시민들의 휴식 공간 및 도심 녹지공간으로서의 기능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특히 봉화산은 원주시민이 가장 선호하고 가족단위의 탐방이 가능한 녹지공간이며 향후 봉화산 택지, 무실택지, 대명원 택지 등으로 인해 도심의 숲으로 변해가는 상황에 처해 있으므로 봉화산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원주시의 고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4. 훼손 현장사진 -별도 첨부